지킬 박사와 하이드


경제학에서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이라고 가정한다. 소위 말하는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 그러나 현실의 인간이 그렇게 단일한 정신세계를 가지고 항상 합리적으로 행동하는가? 일상에서 우리는 사람들이 모순적인 행동을 하고 또 그것을 제3자가 보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이유로 정당하는 것을 종종 본다. 인간의 모순적 성격에 대해서는 프로이드가 언급한 바 있다.  그와는 다르지만, 흔히 공포, 괴기영화에서나 등장하던 <<지킬박사와 하이드>>에 인간의 이중성에 대한 통찰이 있다. 그 구절을 옮겨 적는다. 프로이드는 1900년에 <<꿈의 해석>>을, 스트븐슨은 1886년에  <<지킬박사와 하이드>>를 출간하였다.




Robert Louis Stevenson(2008). 지킬 박사와 하이드 (박찬원 역). 서울:펭귄클래식코리아 (원서출판: 1886.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 and Other Tales of Terror)



나는 18xx년에 태어났다많은 재산을 상속받았고 그밖애도 훌륭한 신체를 물려받았으며 천성적으 부지런했다학식있고 훌륭한 동료들로부터 존경 받는 잉을 기뻐했다따라서 당연히 명예롭고 빛나는 미래가 보장되어 있었다그런데 나의 가장  단점은 쾌락을 탐하는 성향이었다쾌락은 많은 사람을 행복하게 하지만, 그건 자긍심으로 대중들 앞에서 철저하게 근엄 모습을 보이 싶다는 오만한 욕망을 가진 내게 쾌락은 양립하기 어려운 것이었다그래서 나는  욕망을 감추었다그런데 되돌아볼  있는 세월이 되어 스스로를 돌아보자 세상에서의 내 성취와 지위를 평가해보니아미 나는 상당히 이중적인 생활을 하고 있었다내가 이렇게 죄의식을 가지고 있는 부조리를 오히려 과시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그러나 나는 내가 스스로 새운 고귀한 가치관에 따라 판단했도 거의 병적인 수치심으로  부조리를 감추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자신을 형성해 왔으며내안에서 인간의 이중성을 나누고 결합시키는 선과 악이라는  영역을 다른 사람들보다  갚은 고랑을 파서 철저하게 분리시킨 것은내가 타락해서라기보다는 오히려 내가 지향하는 바가 매우 엄격했기 때문이다. 

종교에 뿌리를  가장 심오한 고뇌의 원천인 선과 악이라는 이중성,   가혹한 삶의 법칙에 다 나는 깊이집념을 가지고 천착하게 되었다내가 뿌리깊이 이중적이라고 해서 위선적인가 하면 그건 전혀 아니다.  나의 두 가지 모습 모두 진실한 것이었다자제심을 버리고 부끄러운 일 뛰어드는  역시환한 태양 아래 지식의 증진 혹은 슬픔과 고통의 경감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나와 다르지않은  자신이었다전체적으로 신비하고 초월적인 방향으로 진행되던  연구에 성과가 있어 인간동료들이 끊임없이 겪어야 했던  전쟁에 대한 커다란 희망의 서광을 비추었다그리하여 나는 하루하루 내 지성의  줄기인 도덕과 짓ㄱ으로부터 출발하여 점차 진실에 가까이 가게 되었다 진실의 일부를 발견했기에 나는 그렇게 무시무시한 파멸로 치닫게  것이다 진실이란인간은 진정 하나가 아니라 둘이라는 것이다내가 둘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내 지식으로 그 이상 나아가지 못했 때문이다같은 선상에서 혹자는 나를 뒤따를 것이고 혹자는 나를 앞지를 것이다그리고 그렇게 되면 내가 감히 추측건대 인간은 결국 여러 개의 모순되면서도 각기 독립적인 인자들이 모인 집합체에 불과하다는 것이 알려지게  것이다 경우 삶의 본성이  방향으로만오직  방향으만 절대적으로 전진했다그것은 도덕적인 측면이었으며 과정에서 나는 나란 인간 속에서 철저하고 근본적인 인간의 이중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의식 속에는 서로 갈등하고 있는  개의 본성이 있으며비록 내가   어느 한 쪽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고 하더라도그것은 근본적으로  양쪽 모두이기 때문이다그리고 일찍이  과학적 발견을 통해  본성을 분리하는 기적이 정말로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기도 전에도 나는 그러한 몽상을 즐기곤했다나는 생각했다만약 각각의 본성을 별개의 개체에 담을  있다면참을  없는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롭게 사는 날 가능하지 않을까부조리한 존재는 그의 고결한 쌍둥이의 열망과 다책으로부터 해방되어 그만의 길을 가고정의로운 존재는 흔들림없이 학고하게 높은 곳을 향한 그의 길을 가면  것이다그는 선행을 하는 가운데 기쁨을 느낄 것이며 이상 악질적인 악마가 행하는 불명예 탓에 괴로워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이들 모순되는 한쌍이 함께 묶였다는 것은고뇌하는 의식이라는 자궁 속에서 이렇게 극과 극인싸웅이가 계속 갈등하며 지내야 하는 것은 인류가 받은 저주였다그렇다면 어떻게 이들 둘을 분리할  있을까?(Stevenson, 2008:105~7)

'한 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날 영화 추천  (1) 2023.11.19
시카고, KAIST, 서울대 권장도서  (0) 2019.03.11
다자이 오사무, 인간실격  (1) 2018.09.28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0) 2018.09.04
키케로. 우정에 대하여  (0) 2018.04.09

Despot meets democrat

Can the euphoria of the Korean summit last?

Moon Jae-in and Kim Jong Un seem to have got on like a house on fire

 

Apr 27th 2018 | GOYANG

 

 

 

 

The meeting marked the first time a North Korean leader has travelled to the South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1953. (South Korean presidents have twice visited Pyongyang for summits, in 2000 and 2007.)

 

 

The continuous display of bonhomie meant that the two leaders achieved their first objective: to show that their countries could set aside their traditional enmity to conduct a good-natured conversation.

 

 

For all the pomp and skilful choreography, however, the results of the summit were insubstantial. The joint statement the two leaders signed before sharing a hug and a banquet of symbolic dishes was full of lofty sentiments, but short on detail

 

“The two leaders solemnly declared before the 80m Korean people and the whole world that there will be no more war on the Korean peninsula.” They also expressed a desire to bring about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by the end of this year, by transforming the existing armistice into a peace treaty with the help of America and China. And after rushing to perfect a nuclear bomb, and celebrating volubly at each successful test, Mr Kim declared that in fact he wanted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그 선언의 서명은 이전 정상회담에도

The declaration signed at the previous inter-Korean summit, in 2007, contained similar language on the nuclear issue. Needless to say, it has not been fulfilled.

 

The wording of the new statement does not preclude Northern demands that might derail talks again, such as an insistence that all American troops be withdrawn from the South. Mr Moon has claimed that Mr Kim is willing to drop that idea, but if so, there was no sign of it in the declaration. Indeed, there were no tangible concessions from the North (or, for that matter, the South).

 

 

Still, there was never any chance that a deal on nuclear disarmament would be agreed without American input. The administration of Donald Trump welcomed the outcome of the summit; the president himself tweeted “KOREAN WAR TO END! The United States, and all of its GREAT people, should be very proud of what is now taking place in Korea!” The warmth of the proceedings, and Mr Trump’s even warmer response to it, suggests that his mooted summit with Mr Kim, which is supposed to take place in late May or early June, will indeed go ahead. But what the outcome of that meeting will be, or even what the two sides will offer, remains as opaque as ever. And next time around, the measure of success will be more than warm smiles and shiny photographs. 

 

 

 

'Econom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rything's under control  (0) 2020.04.13
코로나 이후 미국 소비의 변화  (1) 2020.04.13
Finding Phillips Curve  (0) 2019.12.09
낮은 인플레이션: 세계화와 기술  (1) 2019.11.19
MMT, Modern Monetary Theory  (0) 2019.03.16


[사이트] 금융감독원 금융교육 사이트

금융감독원 금융교육 사이트


http://www.fss.or.kr/edu/off/fss/fss_datalist.jsp?b_skincode=1210743375505





반대매매 하루에 1010억, 2006년 이후 최대

2008년 금융위기때보다 반대매매 많아

머니투데이 이태성 기자 |입력 : 2018.10.30 16:17



주식시장에서 30일 1000억원이 넘는 반대매매(호가기준) 매물이 쏟아졌다. 2006년 이후 최대 규모로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더 많은 양이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시장에서 451억여원, 코스닥시장에서 558억여원 등 총 1010억원 규모의 반대매매 물량이 나왔다. 

반대매매는 증권사가 투자자에게 주식 투자금을 빌려준 후 주가가 하락해 주식 평가액이 일정 수준의 증거금(주식담보비율의 140%) 밑으로 감소할 경우 해당 주식을 강제 매도해 자금을 회수하는 것을 뜻한다.

이날 반대매매는 한국거래소에서 반대매매 물량이 조회되는 2006년 이후로 최대 규모다. 전날까지는 2008년 금융위기로 코스피 1000선이 붕괴됐던 2008년 10월27일(851억원)이 가장 컸다.

코스닥시장의 반대매매 물량이 더 컸는데 이는 전날 코스닥이 5% 넘게 하락하며 반대매매 물량이 몰렸다는 분석이다. 

지난 9월에는 일평균 반대매매 규모가 55억원 수준이었으나 10월은 이날까지 일평균 250억원의 반대매매가 이뤄졌다.




'금융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  (0) 2018.11.29
[공매도] 골드만삭스  (0) 2018.11.29
한계기업, 이자보상배율  (0) 2018.11.19
신용매입(Buying   (0) 2018.11.19
[리스크][운영리스크] 삼성증권 배당 지급 오류  (0) 2018.04.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