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638199_A_Users_Guide_to_Restructuring_the_Global_Trading_System.pdf
0.69MB

 

 

개략적인 설명

https://youtu.be/wNgl34Kz6pc?si=jWHjL4_g-KllFAgn

 

 

 

 

 

관세 정책에 대한 비판

 

https://youtu.be/XXbQV1lP-ls?si=BiRnBQyVcQjkprAK

죄수의 딜레마 부분은 조금 이상함

 



 

 

미국자동차 산업

 

https://youtu.be/6c8sahA5VPY?si=328NGOXAh3v9lNqy




https://youtu.be/DI9zSfF9vEw?si=jnsyFNqMLa9MhDjJ

 

 

대공황 시기 관세 정책

https://youtu.be/MDhDUOPcUAQ?si=bSAUCwcu8s5swUay

 

 

 

 

 

 

 

'경제원론2_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리가격과 경기변동  (0) 2023.10.21
대공황과 뉴딜  (1) 2020.06.10
디플레이션(deflation) 위험  (0) 2020.05.09
코로나 사태의 이모저모  (1) 2020.04.21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물가를 과대평가???  (0) 2019.11.11

구리는 전기, 전자, 건설 등 각종 산업 분야의 필수적인 원자재로 실물경제의 선행지표로 불린다. 경기 확장 혹은 회복기에 수요가 증가하며 가격도 함께 뛰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지금과 같은 불황일 땐 수요 둔화로 가격이 하락한다. 2008년 금융위기가 오기 전 구리 가격은 다른 경기지표들에 선행해 먼저 가격이 떨어졌다. 재고 역시 증가했다. LME 구리 재고량을 올초(1월3일) 8만8550톤이었으나 지난 18일 19만1675톤으로 2배 이상 늘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구리 가격의 하락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보진 않는다. 장기적인 탈탄소 에너지 전환 시대엔 구리가 필수 요소로 쓰이기 때문이다. 전기차(EV)뿐 아니라 배터리 저장장치, 풍력, 태양관, 전력 송배전 등에 구리가 모두 쓰이기 때문이다. 중국 경우도 건설 부문의 구리 수요량은 줄지만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인프라 부문으로의 수요는 여전히 견조한 상황이다.

아울러 장기적인 공급 부족도 구리 가격 상승에 힘을 실어준다. 주요 구리 광산기업의 설비투자(케펙스·CAPEX)가 늘지 않고 있고 중국의 환경규제로 구리 제련 가동률도 높아지기 힘든 상황이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코델코, 리오 틴토 등 주요 광산기업 9개 업체의 설비투자 규모는 2013년 21억3000달러에서 지난해 19억4000달러로 줄었다.


'경제원론2_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란 보고서  (0) 2025.04.05
대공황과 뉴딜  (1) 2020.06.10
디플레이션(deflation) 위험  (0) 2020.05.09
코로나 사태의 이모저모  (1) 2020.04.21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물가를 과대평가???  (0) 2019.11.11

* 대공황의 배경과 전개, 회복

대공황의 원인, 경과, 회복.pdf
3.52MB

* 뉴딜의 성격

Great Depression_박경로(2009)_계약의 사회화-뉴딜의 재해석_역사비평.pdf
4.93MB

 

'경제원론2_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란 보고서  (0) 2025.04.05
구리가격과 경기변동  (0) 2023.10.21
디플레이션(deflation) 위험  (0) 2020.05.09
코로나 사태의 이모저모  (1) 2020.04.21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물가를 과대평가???  (0) 2019.11.11

 

 

 

디플레 전쟁

홍춘욱

 

(책)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38150290

 

디플레 전쟁

국내 최고 이코노미스트 홍춘욱의 디플레 위험을 이겨내는 투자법을 담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코로나19 쇼크로 인한 극심한 경기침체에서 빠르게 회복되려면, ‘효과가 검증된 경제정책’만 ��

www.aladin.co.kr

(유튜브방송) 디플레 전쟁, 지금 왜 디플레를 이야기할까? (f.홍춘욱) 

https://www.youtube.com/watch?v=CsnABTNodnw

 

 

 

 

 

* 2020.04.04.  세계는 지금: 코로나19가 드러낸 계급사회(164회_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AyF8WANo4lA

 

* 2020.04.18. 세계는 지금: 코로나19의 역설, 사망률이 낮아지고 범죄가 줄어들다? (166회)

https://www.youtube.com/watch?v=N8593zDDLVE

 

* 격리정책, 감염병, 그리고 불황곡선의 관계

https://www.youtube.com/watch?v=i8LPWfB9De0&t=2225s

 

* 2020.04.21. "일자리도 영주권도 주겠다" 불법체류자 감싸고 나선 유럽, 왜?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41918283066811

 

* 2020.04.21. 선물가격이긴 해도, 국제유가 마이너스 34달러

https://www.youtube.com/watch?v=Oc4Lk5AVLQU

 

* 2020.04.21. 마이너스 유가' 인식 못한 키움 HTS... 일부상품 거래 중단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1/2020042101505.html

 

https://news.joins.com/article/23759188

 

* 2020.04.26. 코로나19의 '역설' 생태계 복원...인류에 과제 남겨 / YTN

https://www.youtube.com/watch?v=HRrAsrqNxP4&list=WL&index=5&t=0s

 

 

 

 

코로나 이후의 사회: 코로나 19, 신인류 시대

* ’ 최재천 "해답은 생태백신" 

https://www.youtube.com/watch?v=3F7KemRVFSw&t=29s

 

* 지구화 도시화 금융화 "다 무너진다"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홍기빈 소장

https://www.youtube.com/watch?v=AY6zCCt5Swk&t=11s

 

* 경제 대충격 이후 무엇이 바뀌고 무엇이 올 것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iiei8Hh3U3I

 

 

코로나 이후 미국과 중국의 헤게모니 대립 격화

* 국제금융시장 관련: SWIFT

How covid-19 could change the financial world order

https://www.youtube.com/watch?v=VfKfSUqn_GY&list=UU0p5jTq6Xx_DosDFxVXnWaQ&index=2

 

 

* 美, 해외 기업들도 中 화웨이에 반도체 수출 금지 발표 / YTN

https://www.youtube.com/watch?v=1qaJtpjf_xQ&list=PLRiVDVgoMg7dHbQQA3FqrRyimWoLJKZ76&index=3&t=15s

 

1. 대체효과

2. 재화의 품질 향상 미반영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910281906011&code=920501

 

6년새 장기실업자 22만 증가···“경력단절·해고 등 구조적 요인”

2014년부터 국내 장기실업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고됐거나 경력이 단절된 이들이 재취업을...

biz.khan.co.kr

 

[2016 미국경제학회] "R&D 82% '지는 산업'에 투자…효율 떨어져"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16010474281

 

[2016 미국경제학회] "R&D 82% '지는 산업'에 투자…효율 떨어져"

3일(현지시간) 열린 미국경제학회(AEA)에서 석학들은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총요소생산성(TFP)이 계속 증가해야 한다며 시대마다 주력 기술과 산업은 다르지만 효율적인 자원배분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총요소생산성이란 노동 생산성뿐 아니라 근로자의 업무능력, 자본투자금액, 기술도 등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생산 효율성 수치다. 그레고리 클라크 UC데이비스 경제학과 교수는 기술 발전과 소비의 변화를 따라잡기 위한 노력을 강조하면서 “

www.hankyung.com

 

 

 

The social cost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Dani Rodrik (dani_rodrik@hks.harvard.edu)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2006, vol. 20, issue 3, 253-266

1. 작성기관: 통계청

 

2. 조사목적: 국민의 경제활동(취업, 실업, 노동력 등)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거시경제 분석과 인력자원의 개발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3. 조사규모: 전국 3만 5천 가구 (1,737개 조사구)

 

4. 조사 항목

<본조사>
      - 인적사항,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와 관련된 48개 항목
   
<부가조사>
     -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8월) :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에 관한 사항 등
     - (고령층 부가조사, 5월) : 구직 및 취업경험, 장래 근로에 대한희망 등
     - (청년층 부가조사, 5월) : 최종학교 졸업시기, 취업관련 준비 등
     - (비임금근로자 부가조사, 8월) : 사업자금의 조달방법, 창업자금의 규모 등
     -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8월): 지난주 주된 활동 상태, 과거(1년~3년 이내) 취업상황, 향후취업 희망여부 관련 등

 

자세한 조사항목은 첨부파일 참조

2019년 5월 고령층 조사표최종.pdf
1.82MB
2019년 5월 청년층 조사표최종.pdf
2.60MB
2019년_경제활동인구조사_조사표.pdf
5.64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