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n.kbs.co.kr/news/view.do?ncd=4159214

 

[소득격차 확대]① 상위 10%가 싹쓸이…1980년대와 달라진 한국

지난 5일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에 진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 감격한 시민은 거의 없고 대부분 "정말?" "그런데 나는 왜?" 이런 반응을 보인 사람들이 많았다. 각 분야 전문가들은 국민들이 3만

mn.kbs.co.kr

 

http://mn.kbs.co.kr/news/view.do?ncd=4175099

 

[소득격차 확대]④ 대기업 대비 월급 반토막…15% 만을 위한 사회 안 된다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가는 것은 대기업이다. 오랜 기간 대기업이 이끌고 중소기업이 뒤를 받치는 경제시스템을 견지해 왔다. 우리는 대기업 위주의 경제정책을 펴면 중소기업 노동자들까지 그 과실을 충분히

mn.kbs.co.kr

 

http://mn.kbs.co.kr/news/view.do?ncd=4176429

 

[소득격차 확대]⑤ 중소기업 임금 적은 이유는 따로 있다

1997년 IMF 외환위기는 우리 국민들의 삶에 일대 변화를 가져다줬다. 우리는 그저 위기를 극복했을 뿐 위기 이후 구조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을 한참이 지난 뒤에야 깨달았다. 외환위기는 고용조정을

mn.kbs.co.kr

 

http://mn.kbs.co.kr/news/view.do?ncd=4182804

 

[소득격차 확대]⑦ 비정규직, 20년간 바뀐 건 더 벌어진 임금 격차

이달 초 고성, 강릉 등 강원도 일대에서 동시에 발생한 산불은 모든 국민들을 긴장시켰다. 화재 당시 빠른 정부의 대처로 진화 작업이 신속하게 이뤄지면서 화재 진압 뒤에 숨은 주역이었던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에

mn.kbs.co.kr

http://mn.kbs.co.kr/news/view.do?ncd=4208746

 

[소득격차 확대]⑪ 남성보다 훨씬 적은 임금…“남성한테 승진도 양보하래요”

여성 A씨:“전 미혼여성이지만 부모님을 모시고 살고 있고 부모님은 은퇴하셔서 정기적인 소득이 있는 건 저 하나입니다. 그런데, 성과 평가할 때 제가 동료 남직원보다 평가가 좋았음에도 남직원은 결혼을 앞두고

mn.kbs.co.kr

 

'경제원론1_미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경식(2006). 소유권은 절대적인가?  (0) 2020.08.28
거래비용  (0) 2020.05.11
정부실패: 지대추구 행위와 포획이론  (2) 2020.03.11
시장과 제도  (0) 2020.01.30
담합 사례  (0) 2020.01.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