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원론1_미시

코로나 시기에 마스크 산업이 보여주는 시장에 대한 함의

무 중 2021. 4. 24. 22:29

마스크의 무정부적 생산에 따른 문제

* 2020년 초 마스크 가격 급등

 

* 2021.04.23. "없어서 못 팔던 마스크…'땡처리'로 몸살"

www.youtube.com/watch?v=dQi7-_NbVcI&t=7s

 

 

대만의 정부주도 마스크 생산

 

* 2020년 대만은 마스크 생산을 정부주도로 진행하면서 다른 나라와 달리 코로나 사태에 안정적으로 대처

 

* 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한 마스크 공급에서 시장보다 정부가 더 효율적으로 작동

    - "인간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 자원을 조달하는 문제"에서 정부가 시장보다 더 뛰어났음.

 

news.joins.com/article/23726090

 

[view] 마스크 품귀 때 오히려 값 내렸다, 대란 막은 대만의 비결

1월 30일에는 1회 구매 수량을 1~3개로 제한했고, 2월 6일부터는 1인당 1주일에 구매할 수 있는 마스크를 2개로 제한했다. 1월 30일 8대만달러(318원)→1회 구매 수량 제한 직후인 2월 1일 6대만달러(238

news.joins.com

 

* 시장경제에 주는 함의는?

    어떻게 가능했는가?

    평상시에도 이렇게 작동할 수 있는가?